차트를 공부 중인데 현재 RSI 지표가 과매도 상황인 30의 근접한 후 점차 올라가고 있는 중입니다. 거래량도 조금씩 꾸물꾸물 올라가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또한 20이평이 50이평을 골든 크로스 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보이는 것 같고요. 이러한 움직임을 본 후에 피보나치 되돌림으로 저점과 고점을 찍어서 확인해본 결과 제 생각으로는 0.236 라인을 상방 돌파하여 계속 상승을 할 거 같다는 판단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피보나치 되돌림의 0.236 부근을 상방 돌파시에 이전 저점을 스탑 로스로 찍고 롱을 잡아보려고 하는데 이러한 방향성으로 차트를 분석하는 것이 옳을까요?
첫 번째 차트 (30분봉 기준): 피보나치 되돌림과 RSI 흐름 현재 상승 이후 조정 구간에서 피보나치 되돌림 0.5~0.618 구간에서 반등 시도를 포착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구간은 실전에서 흔히 반등이 나오는 핵심 매수 구간입니다. RSI가 과매도권(30 부근)까지 하락한 뒤 반등하려는 흐름은 기술적 반등 가능성을 뒷받침해주며, 가격의 하락 대비 RSI가 더 이상 낮아지지 않는 다이버전스 여부도 확인해보면 좋습니다. 이 상황에서는 추가적인 상승 조건으로 거래량 증가를 동반한 양봉이 나타나면 매수 근거가 강화됩니다. 반대로 거래량 없이 미약하게 반등하는 경우에는 한 번 더 눌림이 나올 수 있어 유의가 필요합니다.
두 번째 차트 (15분봉 기준): 이평선 정배열 시도와 추세 확인 15분봉에서의 200EMA와 500EMA를 기준으로 매수세 복귀를 확인하려는 시도는 실전적으로도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 구간에서는 이평선 재돌파 + 거래량 동반 상승이 확인되어야 비로소 0.236 구간의 지지를 믿고 매수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텍스트에서 정리하신 대로, 이 구간에서 상승 추세가 재차 유지될 수 있다고 보기 위해선 단순히 가격의 반등이 아니라 상승 에너지를 확인하는 조건부 반응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