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종목
비트코인
날짜
2025.04.23
진입가
91,956
레버리지
x
목표가
95,000
익절 / 손절가
0
손익비
수익
-
수익률
-
🪙 BTC/USDT Binance
지난번 차트분석 업로드한 이후 유의미했던 저항대를 강하게 뚫고 상승했다가 조정중인 모습입니다.
📌 진입근거 1_1일봉 다우이론
일봉을 보면 장기 상승추세를 깨지 않고 저점을 높이며 상승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단기 저점(4월 7일경)이 전 고점(3월 14일경)을 침범하지 않고 하락을 멈췄으며, 급등 후 현재는 조정중입니다.
이전 넥라인인 89000달러 부근(3월 24일경)에서 지지해주는 것을 보고 진입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장기 상승추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해당 라인과 이후 설명할 추세선, 지지저항을 침범하지 않아야 합니다.
지금까지는 깨지 않고 상승하고 있기에 장기 상승관점 이어갑니다.
📌 진입근거 2_1일봉 지지저항 및 추세선
위 사진처럼, 지금은 중, 단기 하락추세 이탈 후 채널 상단 리테스트 후 장기 상승추세선을 만들며 상승중입니다.
중요한 지지저항은 굵은 흰색으로, 나머지는 옅은 흰색으로 표시했습니다.
여기서도 역시 아직 더 상승 가능한 것으로 판단(기존 저항선 돌파 및 리테스트 완료)했기 때문에, 상승관점 이어갑니다.
📌 진입근거 3_4시간봉 다우이론
일봉 분석때와 다를 것은 없습니다. 4시간봉으로 보니 저점과 고점을 높여가는 모습이 더 잘 보이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장기 상승, 단기 조정 관점을 지켜주겠습니다.
📌 진입근거 4_4시간봉 지지저항 및 추세선
어제 나왔던 고점이 왜 저 지점에 있었는지 확인되었습니다. 지난 3월 3일날 나왔던 고점에서 형성된 저항대로, 최근 몇달 사이 거래량이 제일 높게 표시되는 지점이기 때문에 유의미한 지점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신뢰도 높은 지지선이 하나 더 출현했습니다.
2월 3일날 나타난 저점에서 해당 지지선을 볼 수 있는데, 앞에서 말한 3월 3일 저점과 더불어 최근 몇달 간 가장 높은 거래량을 기록한 또다른 지지저항대 입니다. 지지선으로써 가장 신뢰도가 높은 것 같습니다.
91,200달러는 조정이 온다면 손익비를 괜찮게 설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혹은, 4월 23일 저점(91,935달러)부터 분할로 매수할 수도 있겠습니다.
조금만 더 가까이서 보면, 단기 상승플래그 채널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 채널의 지지 및 저항도 유념해야겠습니다.
📌 진입근거 5_1시간봉 다우이론 분석
변하는 관점은 없습니다. 단기 조정 및 중 장기 상승 관점 이어갑니다.
어제 나왔던 상승 이후 흔들리는 모습이지만, 중, 장기 추세전환 신호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고점과 저점이 낮아지는 것을 보니 확실히 조정단계임은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지금 글을 쓰는 시점 기준, 92,000달러선을 하회하고 있네요.
📌 진입근거 6_1시간봉 지지저항, 추세 분석
유의미한 추가 지지저항은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흰색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이 1시간봉에서 새로 그린 저항대인데, 아주 단기의 거래량을 보고 표시했기 때문에, 롱/숏의 근거로는 부족한 듯 합니다.
📌 진입근거 7_엘리어트 파동이론 분석
[진입근거 6]의 스크린샷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현재 엘리어트 임펄스파동의 3파가 끝난 후 4파동이 진행중임을 볼 수 있습니다. 4파동의 끝은 3파동을 기준으로 한 피보나치 되돌림상의 0.236구간(91,900달러 부근)과 0.382구간(90,000달러)이 유력해 보입니다.
0.382구간은 또한 앞서 말한 중요한 매물대 구간이므로, 이 지점 확정이탈 시 stop loss를 걸고 진입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 결론
이 분석틀을 따라,
🎯 $91,900
🎯 $91,200
🎯 $90,000
이렇게 세 개의 지점이 조정 이후 반등에 제일 유력한 구간들이고, 따라서 3번에 걸쳐 분할매수하는 전략으로 진입했습니다.
바이낸스 거래소를 기준으로 분석했으나, 저는 OKX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해당 지점 다시 체크 후 현재 $91,956에 롱포지션 진입한 상태이고, 우선 $91,200에 예약매수를 설정해 뒀습니다.
앞서 말했던 것처럼, 바이낸스 기준 $90,000, OKX 기준 $89,724를 넘어서 봉을 마감한다면 손절이 될 예정입니다.
❓질문
이전 저점에서 파동카운팅을 시작해야 하는지, 아니면 지금 사진에 나온 것처럼 추세전환 확인 후 카운팅 하는게 맞는지 애매한 것 같습니다. 어떻게 기준을 잡아야 할까요?
엘리엇 파동에서 1파의 시작점은 보통 명확한 하락 추세선 돌파 또는 이중 바닥 같은 전환형 패턴 이후 첫 상승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제시하신 그림에서처럼 단기 구조 전환 이후 첫 저점에서 1파를 보는 접근은 실전적으로도 흔히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전제는 그 저점이 상위 시간봉에서도 유의미한 지지 역할을 했는가, 그리고 추세선을 돌파하면서 파동적 에너지가 발생했는가입니다. 이 조건이 충족되었다면 지금 방식으로의 카운팅은 문제없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