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종목
비트코인
날짜
2024.10.27
진입가
0
레버리지
x
목표가
0
익절 / 손절가
0
손익비
수익
-
수익률
-
현재 차트를 보고 지지 저항 추세를 작도 하였습니다.
이평선은 20,50,200EMA 를 사용 하였습니다.
현재 이평선이 정배열 상태입니다. 20이평선이 하락하면서 50이평선과 만나려고 하는 모습입니다.
표시해놓은것처럼 위아래 꼬리가 길지 않는 깔끔한 장대봉과 거래량이 터질때 포지션 진입하려 합니다.
저 캔들을 훼손하느냐 안하느냐로 손절을 정하려고 합니다.
보통 정배열이고 추세가 상승일때 장대양봉이 나오고, 장대양봉의 중간 부분을 훼손하지 않고 강력한 지지를 받으면 매수 포지션을 고려 해볼 수 있겠습니다.
이평선 추세 보조지표 등 시장의 방향이 상승인데 긴 음봉이 나오면 일시적인 조정일 수 도 있고, 조정이 아닌 중기 추세의 하락으로의 전환
단기추세의 하락흐로의 전환일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위 그림과 같이 큰 거래량이 터지면서 장대음봉이 나오고 이후에 상승을 하였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장대음봉 의 시가가격 근처에서 매수한 시장 참여자 들은 손실을 보다가 다시 본전이 되었습니다.
손실이 났다가, 본전이 되면 사람의 심리는 이득을 봤다고 생각하여 보통은 팔게됩니다.
(반대로 이득이 나다가 본전이 되면 손해를 봤다고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 시장에는 매도물량이 많이 나와 가격이 저항을 맞고 하락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 했습니다.
이때 중요한것이 이평선의 배열 상태와 보조지표의 방향을 참고하는 것 아닐까? 생각 했습니다.
장대음봉의 시가를 돌파하게되면 이게 진짜 상승이 맞나?? 고민을 하게됩니다.
상승을 할 수도 있고 하락을 할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시험때문에 선물이나 현물매매를 하지 않고 있는데
오늘 글을 쓰면서 생각 하게 되었습니다.
기법도 중요하지만 심법 과 리스크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현재 위의 차트에서 롱 포지션을 매수해야 한다고 과정 할때, 어떻게 리스크관리를 할 수 있을까? 생각 했습니다.
만약에 제가 100만원으로 진입을 한다 가정하면, 저 상승이 진짜 상승이 아닐수도 있기에
만약 100만원을 전부 매수 했는데 -5%의 손실이 생기게될수도 있기에
일단 100만원의 일부인 10만원 10%의 비중으로 일단 먼저 들어가보고 이후의 거래량과 캔들의 움직임 보조지표의 방향을 보고 나머지 90만원을 투자하는것이
안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선발대 매매라고 하는데, 내가 투자할 금액의 일부비중만 들고 추세와 내 분석이 맞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매매방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눌림목매매 그리고 돌파매매 이 두가지다. 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아직 실전경험이 많지않기에 예측보다는 아 가격이 잠깐 하락해서 눌림목구간이었구나
캔들이 거래량도 터지면서 돌파를하고있네? 하고 확인하고 가는것이
손실을 줄이고 승률도 높일 수 있지 않는 방법인가? 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차트를 많이보고 매매 연습을 많이 해야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울 수 있는거 같습니다.)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