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의 저점은 하락, rsi 저점은 상승 = 상승다이버전스 발생 , 하락 추세선 돌파후 상승
질문 RSI 의 신뢰도는 4시간봉 부터 인가요? 2시간봉 이하는 RSI 체크 안하긴 합니다.
이동평균선 역배열 수렴후 상승, 노20 녹50 빨120 흰200 , 상승후 정배열 지수가 120선 이탈시 매도관점
댓글1
코잉이
RSI는 시간봉이 길어질수록 더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일반적으로 4시간봉 이상에서의 RSI 다이버전스는 기관이나 큰 손들도 많이 참고하는 구간이라 신뢰도가 더 높다고 판단합니다. 1시간봉까지는 어느 정도 유의미한 신호로 보지만, 15분 이하로 갈수록 노이즈가 많아지고 단기 변동성에 흔들릴 가능성이 커집니다. 2시간봉도 중간 지점으로 볼 수 있는데, 4시간봉보다 신뢰도는 다소 낮지만 1시간보다는 약간 안정적인 흐름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RSI 다이버전스를 근거로 매매를 계획하신다면 4시간봉에서 먼저 큰 구조나 다이버전스 흐름을 확인하고, 그다음 하위 시간봉에서 같은 방향으로 정배열, 지지 반응, 볼륨 증가 같은 근거를 추가해서 진입하는 방식이 안정적입니다. 또 하나 강조드리고 싶은 건, RSI 수치보다도 다이버전스가 발생한 위치, 특히 지지에서 지지로 바뀌는 구간인지, 혹은 추세선 부근인지, 그리고 거래량이 동반되었는지를 꼭 같이 확인해주셔야 더 신뢰 있는 시그널이 됩니다. 지금처럼 흐름을 차분히 구조화해서 보고 계신 접근은 아주 좋은 습관입니다. 그 연습을 계속 이어가시고, 가능하면 다이버전스 발생 구간에 수평선, 추세선, 거래량 반응을 같이 작도해보시면서 훈련하시면 훨씬 더 빠르게 실력이 붙을 겁니다.
2025-04-11 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