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평선은 위에서부터 20,50,200 ema를 사용하였습니다.
위에서부터 20,50,200 순으로 정배열을 그려나가는 상태이고 200ema위에 캔들이 위치하여 상승 추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상승추세에서 저점이 높아졌는데, rsi는 낮아진 상태인데 강의 에서는 나오지 않았으나
큰 하락이 나왔는데
히든상승 다이버전스 임을 알 수 있는건가요?
2 고점과 저점이 낮아지며 이평선이 낮아지면 하락추세임을 확인 할 수 있는데
하락 추세에서 캔들의 고점은 낮아졌지만 rsi의 저점은 높아져
히든하락 다이버전스 가 될 수 있을까요?
3 이평선이 200 50 20 역배열 상태이고 추세는 하락인데
rsi 는 추세와 반대로 상승을 하였으므로
상승 다이버전스로 볼 수 있을까요?
일단 개념적인 부분을 다시 짚어보면 "상승다이버전스"는 "저점"을 보아야하고 "하락다이버전스"는 "고점"을 보아야합니다. (캔들/rsi 둘다) 하지만, 작성자분께선 1번사진의 "히든 상승다이버전스"를 이야기하시는데 rsi의 "고점"을 작도하여 이야기하고 계시고, 2번 사진의 경우 "하락다이버전스"를 이야기하고 계신데, rsi의 "저점"을 작도하여 이야기하고 계시며 3번 사진의 경우 "상승 다이버전스"를 이야기하고 계신데, rsi의 "고점"을 작도하여 이야기하고 계십니다. 개념 적인 부분에서 잘못된 내용으로 판별을 하고 계신듯해 글 남깁니다~ 다시한번 체크해보시죠!
아하 감사합니다!!
[30일 챌린지 2기 2주차] 상대강도지수와 다이버전스 확인하기
[30일 챌린지 2기 2주차] rsi 다이버전스
[30일 챌린지] 2기 2주차 상승다이버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