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가격의 변동성과 추세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기술적 분석 도구
---
1) 가격의 변동성
2) 추세
이 두 가지를 알 수 있는 지표?
---
[구성요소]
요약) 데칼코마니 같은 모양이다.
요약) 20일 이동 평균선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
표준편차) 정규분포라고 가정할 때 2 표준편차이면, 벤드 바깥에 위치할 확률은 5%(위, 아래 합)
즉, 캔들이 볼린저 밴드 안에 있을 확률은 95%이기 때문에,
캔들이 상단, 하단 밴드에 위치할 확률은 2.5%이다.
따라서 확률적으로 캔들 밖에서 매매, 매도는 정상적인 행위가 아닐 수 있다.
---
블린저 밴드를 만든 볼린저는 자신이 만든 지표가 다음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을 발견:
1] 일반적으로 주식 가격이 밴드 안에서 움직임
2] 밴드 밖으로 벗어났을 때, 다시 밴드 안으로 돌아오는 시그널로 사용할 수 있음
-> 이로인해 시장이 과매수, 과매도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는 아이디어가 나옴
-> 상단 밴드에 가까워질수록 과매수 상태일 가능성 높음
-> 하단 밴드에 가까워질수록 과매도 상태일 가능성 높음
3] 밴드 밖을 나오면 결국 평균으로 수렴한다.
---
꿀팁]
학식탈출님 오늘도 열공중이시군요! 정리하신 내용을 공유해주시니 다른 챌린저분들도 참고하시기 좋겠습니다 ㅎㅎ 오늘도 좋은 하루되시고, 오후 강의 때 뵐게요!
넵 투딩이님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드리고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좋은 강의를 위해 늘 준비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