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일봉과 1시간봉을 이용하여 지지 저항선과 추세선, 매물대구간을 박스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추세선은 시간봉상의 하락이 나오는 고점과 고점을 이었으면 2터치 추세선으로, 유의미해 지기 위해서는 테스트를 한번 거쳐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한 시간봉 상으로 92500 부근에서 두번이나 지지 반등을 보여준 구간입니다. 특히 두번 모두 v자로 크게 반등해주었음으로 유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외로는 시간봉상으로나 날봉상으로 명확한 지지 저항선을 찾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아래꼬리를 길게 말아올린 90500부근 부터 11일부터 18일까지 횡보를 거듭한 매물대 구간을 박스로 설정해두었습니다.
이를 종합해보았을 때, 가격 예측을 시나리오 A, B로 나누어서 해보았습니다.
시나리오 A) 다시 한번 추세선 저항을 맞고 추세선 테스트가 유의미해 질 시 925000지지와 수렴해 나가다가 상방 돌파
-> 추세선 저항을 맞고 92500부근까지 테스트하러 와서 지지 테스트가 다시 한번 확인 될 시에 925~930 부근에서 매수. 925선 지지를 하방 돌파 할 시에 손절. 108부근 전고점 저항 부근에서 익절.
시나리오 B) 추세선 저항을 맞던 안 맞던 횡보를 거듭하다가 92500지지 하방 돌파
-> 이 경우에 1차 지지선인 90500 부근에서 1차 매수.
2차 지지선으로 매물대 박스 안에서 86~ 88즈음에 2차 매수. 85라인이 유의미하게 돌파 되면 최종 손절.
아직 매물대의 개념이 약해서 박스권 내에서 어느 지점에 매수를 들어가야 하는지 개념이 안 잡히는 것 같습니다. 열심히 배워나가고 미션 수행해 나가겠습니다. 좋은 기회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
[30일 챌린지 8기 1주차]
[30일 챌린지 8기 1주차] 지지 저항, 추세 파악을 통해 가격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방법
[30일 챌린지 7기 2주차] 상대강도지수와 다이버전스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