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현재 가지고 있는 체인링크로 분석해봤습니다
[ 일봉차트로 전체 기간을 활용해 지지선과 저항선을 그어봤습니다 ]
상승 추세라고 생각하여 상승추세선을 그었는데 2개를 그어봤습니다
첫번째는 24년 8월 저점(거래량이 급등하여 의미가 있다고 생각) 과 현재구간 저점을 이은 추세선이고 두번째는 현재의 돌파자리와 저점을 이은 추세선입니다
현재구간 확대를 해보면 첫번째 추세선을 그은 자리로 생각해보면 상승추세선의 저항을 받고 다시 올라갔다고 생각되지만 2번째 추세선으로 생각하면 상승추세선을 이탈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4시간봉으로 봤을 때 저는 처음에 고점 부근 자리에서 진입을 했습니다. 그 근거는 저항선을 여러번 터치했고 저항선을 뚫고 위로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저항선을 맞고 떨어지며 하락추세로 바뀌었고 저는 고점에 물린것을 복구하기 위해 최근 가장 큰 음봉자리가 나온 곳에서 롱 포지션에 들어갔습니다. 이 근거는 꽉 찬 음봉이 나온 이후에 밑꼬리를 달지않은 양봉이 나오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이 실습을 하면서 궁금한 것이 2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저는 추세선을 2개를 그었는데 추세선에 따라 관점을 다르게 볼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해서 어떤 기점을 기준으로 추세선을 그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두 번째는, 밑에 사진처럼 거래량이 폭발하지만 박스권 횡보를 하는 구간은 매집을 들어가야 하는 구간인지도 궁금합니다!
댓글0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