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추세선 작도
연 초에 이미 큰 상승을 거쳤으며 현재는 상승보다는 하락 또는 박스권을 보이고 있습니다.
게다가 8월 초에 큰 하락이 동반되면서 이더리움의 가격 하락을 가속화 했습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큰 하락이 있었던)8월 초 이후 다시 한 번 하락이 발생하면서 1차 지지선을 잠시 이탈 했었으나, 다행히 거래량이 받쳐주어 1차 지지선은 지킬 수 있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만약 이더리움의 상승이 발생한다고 해도 하락 추세선을 돌파 후 (2,820)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다시 하락하여 (2,142~2,820)박스권을 형성할 가능성이 크다고 느껴집니다.
거래량이 받쳐주며 상승 추세선까지의 접촉이 발생한다고 해도 그 후 발생할 상승의 크기가 크지 않아 이익의 크기가 작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만약 이더리움에 투자를 한다면 가격이 하락 추세선을 돌파했을 때 투자하는 공격적인 방식을 선택하거나(이 방식은 위의 저항선이 이전의 지지선 이었기에 작은 상승 후 하락으로 이어지기 쉽다.) 혹은 하락 추세선을 돌파 후 (2,820)저항선을 돌파할 때 투자하는 방어적인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이 방식은 지지선을 돌파할 때까지 이미 많은 상승이 필요하기에 큰 거래량이 버텨주지 않는 이상 큰 이익이 발생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두 방식 모두 돌파 후 투자 방식에 따른 저항선을 설정하는 것이 관건일 것 같습니다.
아직 투자를 고민하고 있다면 이더리움은 이미 큰 상승을 했고 현재는 상승보다는 하락을, 하락보다는 박스권 내에서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알고 고민해보시면 더 나은 투자를 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