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안녕하십니까?
선생님께서 8월 22일 작성하신 '비트코인 차트 분석'을 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문의 드립니다.
1. ‘층 구조’ 그림에서 층 범위(?)를 수평선(띠) 넓이로 표현하시고
아래에 수치도 적으셨는데요.
띠의 넓이, 즉 수치는 어떻게 정하신 것인가요?
2. 차트를 불규칙적인 구간과 규칙적인 구간으로 구분하신 후
다우이론 국면 파악을 하셨는데요,
그렇게 구분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다우이론은 규칙적인 모습일 때만 국면 파악을 해야 하는 건가요?
약간의 보충 설명 부탁 드립니다.
1. 지지저항선(혹은 지지저항대)을 작도했을 때 그것이 층층이 구분되어 있으면 그것을 층 구조라고 부릅니다. 그렇기에 보편적 규격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2. 다우 이론은 차트의 규칙성을 파악하고, 다음에도 그렇게 될 것이다 (규칙적으로 갈 것이다) 라는 분석 방식입니다. 즉 불규칙적인 상황에서는 다우 이론을 참고하기 어렵습니다. 규칙적일 때 참고하기 좋습니다.
답변 감사 드립니다. 댓글에 댓글을 달 수 있다는 걸 몰라서 감사 인사가 늦었습니다. 층 구조는 그리신 그림에서 각각 층의 매물대 두께가 달라 보여서 질문 드렸던 것입니다. 보편적 규격 없음을 이해했습니다. 지지저항선을 그려 놓고서, 지하에서 1층 올랐구나 조금 쉬었다가 2층 가자. 3층을 올랐는데 힘빠져 보이는구나, 더 오르더라도 많이 오르긴 힘들것 같으니 내려갈 것인지 결정해야겠다. 이렇게 생각하며 데모 트레이딩을 하니까 지지 저항선이 달리 보이며 매매가 재미 있었습니다. 좋은 시각(분석방법)을 공유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