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I 다이버전스가 나온 지점을 찾으면 다음과 같음.
BULL인 경우도 찾아볼 수 있음
찾아보니 완전히 직접적으로 주가는 하락하는데, RSI는 증가하는 경우는 찾기 어려웠음. 1대 1 대응으로 역전하는 다이버전스는 그만큼 나타나기 어렵다는 뜻임.
사실 RSI의 계산식을 고려하면 당연한 것일 수도 있음.
이동평균과 같이 새로운 일봉을 반영해서 평균을 내는 방식이다 보니 그럼.
따라서 다이버전스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좀 더 큰 그림을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음.
위 그림처럼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는 경우가 있음.
하지만 RSI는 HL(Higher Low)의 모양세를 보이고 있음.
4연속 다이버전스가 나오면서, 주가는 하락하고 있지만 매도세가 약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반등이 나올 여지가 있다는 의미로 해석됨.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일 챌린지 39기 2주차] RSI지표 인증
[30일 챌린지 15기] 11일차 필수인증미션, 다이버전스의 이해
[30일 챌린지 15기 2주차] 11일차 미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