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ZETAUSDT 1시간봉 차트로 작도를 해봤습니다.
처음 해보는 작도라 이렇게 하는게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 처음에는 전체적인 차트를 보고 1,2,3차 지지선을 정해봤습니다.
3차 지지선은 급락 및 급등을 하는 구간
2차 지지선은 횡보 그리고 지지선을 이탈하면서 저항선으로 바뀌는 구간으로 이해.
1차 지지선은 급등의 시작 위치로 보았습니다.
3차는 방어적, 2차는 보통, 1차는 공격적 접근으로 보고 추세선을 작도했습니다.
2) 저점을 잇는 상승 추세선을 초록선으로 작도했으며, 고점을 잇는 하락 추세선은 노랑선으로 작도했습니다.
3) 3가지 선을 그리고 보니 강의에서 봤던 삼각수렴과도 비슷한듯 하여 하락 추세선 이탈 및 상반 돌파에 의해 추가 상승을 예상했습니다.
지지선을 찾는 것은 의외로 간단해보였으나, 저항선은 찾기가 어려웠으며, 어느 구간을 보고 상승 및 하락 추세선을 그어야할지 헷갈렸습니다.
마치 여러개의 사이클안에서 어떤 사이클을 선택해야하는지 감이 안잡힌다고 할까요..?
이 경우,
1. 지지선을 여러개 긋고 시작하는게 맞을까요?
2. 추세선은 몇개까지 참고하는게 맞을까요?
3. 잘못 작도한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11-22
5일차 미션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 입니다 ㅎㅎ 작도를 꼼꼼히 잘 하셨습니다. 지지선과 저항선을 다각도로 분석하며 삼각수렴까지 파악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1. 지지선은 여러 개 긋고 시작하는 것이 맞습니다. 다양한 관점에서 주요 구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추세선은 2~3개 정도로 주요 상승·하락 추세선을 잡고, 필요 시 보조 추세선을 추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3. 작도한 부분에서 특별히 잘못된 점은 없어 보입니다. 추세선은 경험이 쌓일수록 선택과 해석이 더 수월해질 겁니다. 지금처럼 꾸준히 연습하시다 보면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화이팅입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