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대강도지수 RSI가 의미하는 것
이 과제도 자꾸 업그레이드라고만 떠서 실제 차트에 적용이 안되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2. 이동평균선 실제 매매 적용하는 방법
이동평균선이 추가가 안되고 자꾸 업그레이드는 하라고 떠서 실제 매매 차티에 적용을 못했어요 그리고 이동평균선 말고 다른 지표를 차트밑에 띄워두면 그게 무슨 지표인지 어떻게 확인 할 수 있나요? 초보라서 그게 무슨 지표인지 구분을 못하겠습니다.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을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드리겠습니다. 첫째, RSI(상대강도지수)의 의미와 차트에 적용하는 법입니다. RSI는 일정 기간 동안의 상승폭과 하락폭을 비교하여 현재 가격의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를 판단하는 보조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70 이상이면 과매수, 30 이하면 과매도로 해석합니다. 실제 차트에 적용하시려면 대부분의 차트 프로그램에서 보조지표 추가 메뉴가 있습니다. TradingView, 업비트 웹차트, 바이낸스 등 어떤 차트를 사용하시든 "지표" 또는 "Indicator" 버튼을 누르시고 "RSI" 또는 "Relative Strength Index"를 검색해서 추가하시면 됩니다. 만약 업그레이드 요청 창만 뜨고 지표가 보이지 않는다면, 해당 기능이 유료 계정에서만 지원되는 것일 수 있습니다. 무료로 사용 가능한 다른 플랫폼에서 확인해보시길 권합니다. 예를 들어 TradingView는 무료 계정으로도 RSI, 이동평균선 등 기본 지표는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둘째, 이동평균선이 실제 차트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부분인데요. 차트에서 이동평균선이 안 보이는 이유는 두 가지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지표가 추가되지 않은 상태이고, 또 하나는 색이 너무 옅어서 잘 안 보이거나 선의 두께가 얇아 시인성이 떨어지는 경우입니다. 지표 추가는 RSI와 마찬가지로 "지표" 메뉴에서 "Moving Average" 또는 "이동평균선"을 검색해서 추가하시면 됩니다. 차트에 이미 여러 보조지표가 깔려 있어서 어떤 선이 어떤 지표인지 구분이 안 될 경우에는, 차트 왼쪽이나 위쪽에 있는 지표 목록(Indicator list) 또는 설정(Settings)을 클릭해 각각의 지표 이름과 선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의 경우 일반적으로 5일, 20일, 60일, 120일 등이 많이 사용되며, 각각 색상을 다르게 지정해서 구분합니다. 초보자일수록 색상과 선 굵기를 눈에 띄게 설정해두는 게 좋습니다.
처음에는 어떤 선이 어떤 지표인지 헷갈릴 수 있지만, 직접 지표를 하나씩 추가하면서 이름과 색상을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시면 훨씬 명확하게 보이게 됩니다. 이동평균선은 특히 차트의 흐름을 파악할 때 기본 중의 기본 도구이므로 꼭 익숙해지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꼭 상위 시간봉(4시간봉, 일봉 등)부터 먼저 구조를 보고, 그 안에서 하위 시간봉의 패턴과 흐름을 파악하는 습관을 들이시면 훨씬 좋은 매매에 도움이 될 겁니다. 실제로 작도도 해보시고, 고점과 고점, 저점과 저점을 연결해서 추세선을 직접 그려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