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몬입니다.
어제 밤은 전체적으로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여준 것 같은데요.
미국 증시는 어땠는지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 미국증시
잭슨홀 컨퍼런스 앞두고 매물 소화하며 하락 마감.
경제지표가 부진하자 경기 우려를 반영하며 매물 소화가 진행.
장중 하락세로 전환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하락하며 마감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있을 잭슨홀 컨퍼런스에서 파월 의장의 발언으로
국채 금리, 달러화 등의 강세가 확대된 점도 부담을 주었습니다.
시장은 파월 의장의 발언과 대선 관련 불확실성 등을 반영하였고,
시장을 견인 했던 반도체와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이 시작되었습니다.
반면, 금융과 에너지 등은 강세를 보였던 점도 특징이었죠.
📉 다우 -0.43%
📉 나스닥 -1.67%
📉 S&P500 -0.89%
📉 러셀2000 -0.95%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3.44%
✅ 변화 요인: 경제지표, 잭슨홀 컨퍼런스
- 지지표발표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28K에서 232K로 증가하였습니다.
고용 둔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였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경기 침체를 자극하지는 않았습니다.
시카고 연은 국가활동지수는 -0.09에서 -0.34로 위축되었는데요.
생산업이 이를 주도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
제조업 PMI가 49.6에서 48.0으로 위축되었죠.
서비스업 PMI는 55.0에서 55.2로 소폭 개선되었는데요.
제조업 생산량이 14개월 만에 크게 감소하였고,
고용 문제에 대해서 크게 기여할 수 있었습니다.
제조업에서 고용이 거의 중단되었고,
서비스 부문에서는 구인의 어려움이 있어 둔화.
제조업 생산과 고용시장의 위축이
지표로 확인되며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습니다.
* 잭슨홀 미팅 / 23일(금)부터 25일(일)까지
'통화정책의 효과성과 전달 재평가' 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오늘 11시에 경제 전망을 주제로 한 파월 의장의 연설이 있습니다.
시장은 올해 100bp 인하를 보고 있으며,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는 추세입니다.
최근 고용 약세 신호가 확대되며,
투자자들은 빠른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시장은 9월 6일에 발표되는 고용보고서의 결과가
고용 위축을 시사할 경우 50bp 인하 가능성도 보고 있습니다.
때문에 파월 의장의 발언이 중요하겠는데요.
지난 7월 FOMC 이후 지속되는 물가 둔화, 고용의 위축 등을
물가에 대한 자신감과 고용 리스크의 강조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과거 잭슨홀 연설 내용
2018년: 점진적 금리 인상 주장
2019년: 추가 금리 인하 필요성 언급
2020년: 유연한 평균 인플레이션 목표 채택
2021년: 자산 매입 축소 예고
2022년: 긴축 속도 조절 필요성 언급
2023년: 금리 인상 중단 신호
댓글3
뚜뚜
시몬샘 항상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
2024-08-23 08:35시몬
작성자자주 올리겠읍니다
2024-08-23 09:00여여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12-13 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