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특입니다.
주봉 60 이평선 지지선 / 일봉 더블탑 저항선 / 4시간봉 어센딩 패턴
손익비 대략 2:1 레버리지 10배
제 시나리오는 어센딩으로 보고 저항선 부근까지 롱으로 발산을 예상했는데 바로 정해둔 스탑로스에서 손절쳤습니다.
너무 캔들패턴을 단순하게 보고 들어간건지 시나리오가 잘못된건지 빠트린 무언가가 있는지 피드백 좀 받고 싶습니다!!
전반적인 방향성이나 큰 틀에서의 분석 의도는 잘 잡으셨습니다. 주봉 60이평 지지, 일봉 더블탑 저항선, 4시간봉 어센딩 패턴이라는 여러 근거를 종합해 매수 시나리오를 세우신 점은 긍정적입니다. 다만 진입과 손절이 너무 촘촘한 자리에서 발생했다는 부분과, 구조 분석의 순서가 조금 서두른 감이 있습니다! ㅠㅠ 현재 차트를 보면 상위 시간봉인 일봉에서 이전 고점 저항을 명확하게 돌파하지 못하고 있고, 오히려 그 자리를 중심으로 윗꼬리를 만들며 다시 밀린 흐름입니다. 특히 두 번째 이미지처럼 4시간봉에서 고점 부근의 음봉 전환이 나왔을 때는 단기 매수세가 약화된 신호로 해석할 수 있었고, RSI도 하락 다이버전스를 보였습니다. 이럴 때는 상방 돌파를 기대하기보다는, 저항대 근처에서 눌림이 확인되고 거래량이 실리는 자리까지 기다리는 것이 더 안전 하실 거에요! 시나리오의 방향은 나쁘지 않았으나 진입 타이밍이 조금 서두른 감이 있고, 상위 구조에서 아직 확실히 돌파하지 못한 상태에서 손절 라인을 너무 가까이 둔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급하게 반응하지 마시고, 다시 그 자리의 구조를 상위 시간봉부터 차근히 정리해 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혹시 이전 고점이라고 말씀해주신게 저 더블탑 고점을 말씀해주신건가요 아니면 전날 고점을 말씀해주시는건가요??
감사합니다!
말씀드린 '이전 고점'은 일봉에서 형성된 더블탑 고점 구간을 의미한 것입니다. 여러 번 가격이 반응했고, 강한 매도세가 출현했던 자리이기 때문에 그 구간을 명확한 저항선으로 인식해야 합니다! 단기적으로는 전날 고점도 중요하지만, 매매 시나리오의 방향성을 잡을 때는 상위 시간봉에서 반복적으로 반응한 주요 고점, 즉 구조적인 고점을 우선 기준으로 삼는 것이 훨씬 안정적입니다. 따라서 그 더블탑 자리를 확실히 돌파하고, 지지로 전환되는지 확인한 후에 진입하는 것이 더 유리한 접근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