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차 미션입니다! RSI와 다이버전스에 대한 개념을 듣고 RSI 보조지표를 추가는 겸 분석을 진행해보았습니다. RSI가 상단선을 돌파하였고, 가격이 상승할때 RSI가 하강하였기에 다이버전스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고 거래량도 확인해보았습니다. 사실 거래량이 제가 볼때는 눈에띄게 떨어진것 같지는 않은데 그래프 스케일을 좀더 자세히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궁금해졌습니다. 어찌되었던 거래량이 하락하고 있는 것 또한 하락하였기에 상승세가 약해질 것이라 추측했고, 실제로 라이징웻지가 발생하며 치솟는 가격이 멈추었습니다. 하지만 잠시간의 리테스트(?)후 또다시 엄청난 반등을 보여주었는데 저 급등에 대해서는 라이징웻지 발생후 폴링웻지가 발생해서 급등이 일어났다고 추측할 수도 있을 것 같고, 충격파의 일환으로 추측할수도 있을것 같으며, 이런 분석들과 지표들이 모여 매수의 확실한 근거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과연 저 지표가 실시간이였을때, 라이징웻지가 발생 후 가격하락이 시작되었을때, 과연 나는 다시 반등할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었을까? 에 대한 대답은 no 입니다...막상 근거들을 조금 배웠지만 아직 어떻게 어떤 근거로 저 지표가 다시 반등할 것이다라고 분석할 수 있을까요?
댓글0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일 챌린지)3기 2주차 rsi
[30일 챌린지 3기 2주차] RSI 지표 추가 및 활용(Novice)
[30일 챌린지 3기 2주차] RSI 지표 활용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