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내용에서 언급하신 가격의 하락 / 거래량의 하락/ RSI지수의 저점 갱신으로 보이는 구간을 표시해서 가격 상승이 일어나는 구간을 확인 하였습니다.
아직은 차트를 보고 과거의 구간에서 끼워 맞추는(?)수준이지만 계속하여 강의 습득하며 복습 진행해 보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는데,
하락 다이버전스의 경우 : 가격은 고점을 갱신(?)하였지만 거래량/RSI 지수 감소를 통해 추세 전환을 예측하는데
상승 다이버전스의 경우 : 가격은 저점을 갱신하고 거래량이 낮아지며, RSI 지수가 증가를 통해 추세 전환을 확인한다고 배웠습니다
두 경우 다 거래량이 감소하는 이유를 설명해주셨으면 좋겟습니다. 상승 다이버전스의 경우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상대 강도 지수도 올라가야 하는거 아닌지..이해가 잘 안되어서 그렇습니다 ㅠㅠ
댓글2
주범테
미션 고생하셨습니다 !! 잘 하실것 같아요 ! 30일챌린지 끝나고 우등생방에서 만나요! 매주 월 수 금에 진행하는 라이브도 있으니 많은 관심과 질문 주셔서 궁금증까지 해결하시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 우등생방에서 만나요. 어서 오셔야 겠쮸?
2025-04-21 10:08코잉이
먼저 첨부하신 차트에서 보이는 부분은 RSI 지표의 상승, 가격의 저점 갱신, 거래량 증가라는 조합을 통해 전형적인 상승 다이버전스를 예시로 잘 표시하셨습니다. 여기서 거래량과 RSI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연결해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락 다이버전스의 경우 가격은 고점을 갱신하지만 RSI 지표는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면서 하락세가 나타나는 구조입니다. 이때 거래량이 감소하거나 힘이 빠지는 흐름이 동반되면, 가격의 상승이 지속되기 어렵고 매수세가 약하다는 시그널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즉, 거래량과 RSI가 동시에 약해지는 상황은 추세 전환을 예고할 가능성이 큽니다. 상승 다이버전스의 경우 가격은 저점을 갱신하지만 RSI는 저점을 갱신하지 않거나 오히려 상승하는 구조입니다. 이때 거래량이 증가하는 경우, 매수세가 살아있고 새로운 매수세 유입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상승으로의 전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반면 거래량이 늘지 않으면 단순히 일시적인 기술적 반등일 수 있기 때문에 신중히 접근해야 합니다.
2025-04-22 15:07
[30일 챌린지 23기 2주차] RSI 상대강도지수
[30일 챌린지 23기 2주차] 상대 강도 지수 RSI 강의 미션
[30일 챌린지 23기 2주차] RSI 상대강도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