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징 웻지 vs 베어 플래그, 풀링 웻지 vs 불 플래그 이 두 가지 각각을 어떻게 구분하나요?
작도로 실습해보니 라이징 웻지처럼 보여도 결국에는 지지선 뚫고 하락하면 결과론적으로 베어 플래그로 인식하게 되어서 헷갈립니다...ㅜㅜ
라이징 웻지와 풀링웻지 & 베어 플래그, 불 플래그 둘 다 고점과 저점이 함께 올라가거나 내려간다는 건 알겠는데 이 둘을 구분 짓는게 어떤 건지 잘 모르겠네요... 하락세인지 상승세인지가 중요한가요...?
그리고 작도를 할 때 선을 그을 때나 긋고 나서 유효반응이 일어나는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캔들 끝에 닿게 선을 그어야 하나요 아니면 캔들 꼬리에 닿게 선을 그어야 하나요?
먼저 라이지 웻지 vs 베어 플래그, 풀링 웻지 vs 불 플래그의 구분은 가격의 움직임과 추세선의 각도, 그리고 위치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라이지 웻지는 상승 흐름 중에 고점과 고점, 저점과 저점을 연결한 추세선이 수렴하면서 점점 각도가 좁아지고, 동시에 거래량이 줄어드는 패턴입니다. 상승이 점점 둔화되고 있다는 걸 시사하며, 이 패턴은 종종 하방 이탈이 나옵니다. 즉, 하락을 암시하는 상승형 패턴입니다. 반면 베어 플래그는 급락 이후 일시적인 반등이 나오는 구조로, 저점과 저점을 연결한 지지선과 고점과 고점을 연결한 저항선이 거의 평행하거나 살짝 상승하는 채널 형태를 띱니다. 이 패턴은 다시 하락 재개가 나올 가능성을 보여주는 조정 패턴입니다. 풀링 웻지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락 흐름에서 점점 낙폭이 줄어들며 저점과 고점이 수렴하는 쐐기형을 만들고, 하락세가 둔화되다가 상방 돌파 시 반등이 나오는 구조입니다. 불 플래그는 급등 이후의 조정 구간에서 고점과 저점을 연결한 선이 거의 평행하거나 약간 하락하는 채널 형태로 나타납니다. 결국 다시 상승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조정 구조입니다. 즉, 웻지는 쐐기형으로 수렴하는 모습이고, 플래그는 평행한 채널처럼 진행되는 모습이며, 이전 추세의 피로감이나 강도에 따라 의미가 다르게 해석됩니다. 이걸 보시려면 반드시 고점과 고점, 저점과 저점을 정확히 연결해보면서 각도를 직접 그려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상위 시간대에서 먼저 흐름을 보시고, 그 안에서 이런 패턴이 만들어지는지를 확인해보면 더 명확하게 구분하실 수 있습니다.
[30일 챌린지 23기 2주차]
라이징 웻지 vs 베어 플래그 | 풀링 웻지 vs 불 플래그 + 작도 팁 궁금합니다.
22기 딸기 공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