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넣어야해서 부득이 글을 새로 올리게 된 점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는 19기 이이쑤입니다.
어제 우등생방에 들어가면 받을 수 있는 두가지 지표가 4시간봉 말고는 다른 시간대에 적용시 차트가 왜곡되고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고 문의를 드렸어서, 점선아래와 같이 답변을 자세히 써주셨는데요
지표 우측 설정항목에서 조정할 수 있는게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겠어요.
타임프레임 설정하는것이 무엇인지;; 아래에 나온게 타임프레임 설정이 맞나요? 어떤것을 끄거나 켜도 결과는 같아서. 이게 맞나해서요.
설정탭이 위같이 세개 탭이 있는데 다른걸 뭘 조정해봐야 할까요? ㅠㅠ 바뀌지가 않네요.
보조지표가 너무 많이 켜져 있을 수 있다고 해서, 다른건 다 보이지 않음으로 꺼봤는데도 같아요. ㅠㅠ
혹시 저만 이런걸까요?
보조지표를 선물받은 다른 분들은 이런 문제가 없는지;;;
제 컴퓨터가 혹시 성능이 낮거나;; 문제가 있어서 이런건지 궁금합니다.
다른 분들은 우등생방에서 받은 지표 "(굿라이프) 시스템/롱/숏, (굿라이프)트리거, 하모닉추세지표" 를 모든 시간대에서 잘 사용하고 있나요?
답답해서 다시 한번 글 올려봅니다. (집착중이네요^^:; 말씀하신대로 추세와 지지 저항을 제일 우선으로 여기고, 보조지표는 함께 참고용으로 보는 습관 들일게요!)
성의있게 답변해주셔서 다시 한 번 너무 감사드립니다.
--------------------------------------------------------------------------------------------------------------------------------------------------------------------------------------
보조지표가 적용되면서 차트가 이상하게 보이고, 진입 포지션도 제대로 나오지 않는 문제는 보통 지표가 여러 시간봉에서 호환이 잘 안되거나, 설정된 시간 프레임과 현재 보고 있는 시간봉 간에 충돌이 날 때 발생합니다. 특히 말씀하신 굿라이프 트리거 지표나 시스템 룰/차트 지표 같은 경우는 대부분 설정된 기준 시간봉이 따로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4시간봉에서는 정상 작동하는데 15분봉에서 이상하게 나온다는 건, 해당 지표가 4시간봉 기준으로만 데이터를 읽고 시각화하도록 되어 있어서입니다. 이럴 때는 몇 가지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먼저, 지표 설정에서 타임프레임을 "차트와 동일"로 설정했는지, 아니면 특정 시간봉(예: 4시간)으로 고정돼 있는지 확인해보시고요. 만약 4시간으로 고정돼 있다면, 15분봉에서는 구조가 맞지 않게 출력되는 게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그리고 지표가 화면을 덮어버리는 문제는, 일부 보조지표가 너무 많은 라인이나 박스를 그릴 경우 렌더링이 무거워지고, 차트 자체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게 되는 현상이 생깁니다. 이 경우에는 지표 설정에서 불필요한 시각적 요소를 끄는 것도 방법이고, 차트 자체의 스케일(축 범위)을 조정해서 화면을 정리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기본적으로는 아래처럼 해보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문제 지표를 적용한 상태에서 지표 우측 설정(톱니바퀴 모양) 클릭
타임프레임 설정 항목이 있다면 "차트와 동일" 또는 "기본값"으로 바꿔보기
불필요한 박스, 백그라운드 색상, 텍스트 등 표시 설정 꺼보기
차트 시간봉을 4시간봉으로 변경해서 구조를 먼저 파악한 후, 15분봉에서는 해당 흐름 속에서 단기 진입구간만 확인
보조지표는 어디까지나 보조일 뿐이고, 항상 상위 시간봉의 구조에서 주요 지지와 저항, 추세선의 위치를 먼저 확인하고, 그 속에서 신호를 활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습니다. 15분봉만 보고 지표 신호만 따라가면 오히려 혼란스러워질 수 있습니다.
댓글2
코잉이
지금 사용 중이신 것은 커스텀으로 만든 [GoodLife]System Long/Short 지표로 보이고, 각 요소에 대해 수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이 설정값들이 특정 시간봉에서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다른 시간봉으로 전환했을 때 구조가 왜곡되거나 차트 상에서 맞지 않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4시간봉 기준으로 설계된 지표라면, 4시간봉에서는 신호가 명확하게 나올 수 있지만 1시간봉이나 15분봉 등으로 바꾸면 같은 수치를 사용하더라도 이동평균선의 밀도나 캔들의 패턴 자체가 달라지므로 결과도 당연히 달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이런 시스템 지표를 사용할 땐 처음 기준이 된 시간봉을 기준으로만 해석하고, 다른 시간봉에서도 사용하고 싶다면 그 시간봉에 맞게 다시 세팅값을 조정해줘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시간 단위를 반으로 줄이거나 늘릴 때 각 지표의 기간도 비례해서 조절하는 식으로 맞춰보는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다만 정확한 방식은 지표 개발자가 어떤 기준으로 설계했는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직접 테스트하고 눈으로 결과를 검증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타임프레임 설정에 관해서는, 차트 상단에서 1분, 5분, 15분, 1시간, 4시간, 일봉 등의 버튼을 눌러 원하는 시간봉을 설정하실 수 있고, 각 시간봉에서 지표가 어떤 식으로 반응하는지를 꼭 직접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지금 보여주신 지표 세팅이 ‘맞다 틀리다’의 문제보다는, 해당 시간봉에 적합하게 설계된 값인지와 실제 차트에서 그 구조가 잘 보이고 일관된 흐름을 잡아주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하셔야 합니다.
2025-04-16 14:22이이쑤
작성자네네, 잘알겠습니다. 참고해서 적용해보도록 할게요! 바쁘실텐데 늘 자세히 답변 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고에요!
2025-04-17 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