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색 추세선: 하락추세선 / 초록색 추세선: 상승추세선 / 파란색 가로줄: 지지선 / 보라색 박스: 삼각수렴 구간)
유의미한 긴꼬리를 기점으로 추세선을 작도했습니다.
우선 첫번째 하락추세선을 기점으로 저항을 받으며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다가 추세선을 뚫기 전에 상승구간이 있었지만 하락추세선을 뚫은 후에 큰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추세선이 뚫린후에 매수해도 늦지 않은 순간이라고 생각됩니다. 현물거래로선 매수를, 선물거래에선 롱포지션을 잡기에 좋은 구간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첫번째 상승을 기점으로 유의미한 꼬리를 이어 상승추세선을 그렸습니다. 이때 아래에서 올라오는 상승추세선과 위에서 내려가는 하락추세선이 교차되는 삼각수렴 구간이 나타납니다. 글을 작성하면서 아쉬운점을 찾자면 하락추세선과 상승추세선 작도를 조금 더 타이트하게 그렸다면 삼각수렴하는 구간을 더 당겨왔으면 큰 상승폭에 맞출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첫번째로 그린 상승 추세선의 지지를 받으면서 계속되는 상승을 이어오고 이때 발생한 유의미한 꼬리에 지지선을 작도 했습니다. 이후 처음으로 상승추세선을 돌파하락하지만 큰 등락폭 없이 횡보하는 박스권을 형성하다가 작도를 못했지만 약간의 상승추세선을 그렸다면, 상승추세선을 뚫고 큰 하락 폭을 맞이합니다. 이때 현물 거래라면 가지고 있는 물량을 매도, 선물거래라면 하락을 예상하여 숏포지션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후 하락추세선의 저항을 받으면서 박스권 형성도 하며 하락해 오다가 하락추세선을 뚫고 상승을 합니다. 이때의 상승 추세선을 그려보면 삼각수렴 구간이라는 걸 알 수 있고 이때도 추가 상승을 예상하여 현물거래는 매수, 선물거래는 롱포지션을 잡을 수 있습니다. 두번째 하락,상승 추세선도 좀 더 타이트하게 그렸다면 상승구간과 삼각수렴구간을 당겨와 조금 더 빠른 포지션을 잡아 수익을 낼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두번째 상승 추세선을 뚫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두서 없이 해석되는대로 막 적었지만 해석하면서 글을 적는 순간에도 뭔가 아쉬운 점이 보이네요 ㅠ 하지만 너무 정답에 집착할 필요 없다는 말씀이 와닿아서 우선 꾸준하게 연습하면서 작도를 습관으로 만드는 것에 집중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D
댓글1
-
삭제된 댓글입니다
2024-10-27 07:42루나틱
작성자좋은 피드백 감사합니다 :D
2024-10-27 11:50